|
 |
웃다리풍물(사물놀이)
웃다리풍물, 웃다리사물놀이는 현재 대전직할시 무형문화재 제1호로 재지정되어 있는 <웃다리농악>을 1978년 김덕수 사물놀이패가 첫 공연을 하면서 사용하게 된 말이다.
웃다리풍물(농악)은 지역에 따른 분류 명칭으로서 충청·경기지역의 농악을 가리킨다. 즉 지역적으로 충청·경기의 웃다리농악과 호남지역의 우도농악, 좌도농악, 영남농악, 영동농악으로 나눌 수 있다. <남사당패 연구〉에 의하면 웃다리가락이란 경기도와 충청도 지방의 풍물놀이를 가리키고 아랫다리가락이란 호남과 영남 지방의 풍물놀이를 가리킨다고도 한다.
웃다리풍물은 동리삼채, 길군악 7채, 6채, 자진가락, 짝쇠 등의 가락으로 엮어지는데 그 특징을 보면
첫째, 가장 큰 특징은 칠채가락과 무동타기이다. 특히 길군악 7채는 웃다리가락에서만 쓰이는 색다른 가락이다. 7채라는 말은 징을 치는 점수가 일곱이라 해서 붙은 이름이다.
두 번째로는, 꽹과리가락이 많이 쓰이며 특히 끝부분의 짝쇠는 웃다리풍물의 결정적인 맛거리라 할 수 있다. 짝쇠란 숫쇠와 암쇠가 가락을 주거니 받거니 하는 가락으로 마치 사랑하는 연인이 대화를 주고 받는 듯하여 듣기도 재미난다. 짝쇠는 원래 호남 지방의 풍물놀이에서 쓰였는데 웃다리풍물에서 더욱 세련되어졌다.
셋째, 웃다리풍물은 대체로 가락이 부드럽고 세밀하게 잘 구성되어 재미있고 매우 흥겹다. 웃다리농악이 다른 지역과 구분되는 이러한 특징은 황해도 일부 지역의 농악과도 일부 연관성이 있다. 국문학자 김헌선은 웃다리풍물이 경기도 무속가락과 깊은 관계가 있는 듯하다고 말하기도 한다. 충청·경기농악 가운데 지금도 연희되고 있는 대표적인 농악으로는 대전의 웃다리농악을 비롯 서울 남사당농악, 평택농악, 천안 흥타령농악, 안성 남사당농악 등이 있다. |
|
가락보 모음 보기--> 내려받기 | |
0. 기본가락 익히기
난타(일채,내드름), 인사, 다드래기(이채, 휘모리),
덧배기(삼채, 자진모리), 굿거리
1. 점고
북 독주
일채
2. 쩍쩍이
동리삼채
타령장단
3. 칠채
4. 육채
5. 마당삼채
6. 짝쇠
1. 난타 ( 일채, 내드름 )
|
1 |
2 |
3 |
2 |
2 |
3 |
3 |
2 |
3 |
4 |
2 |
3 |
쇠 |
당 |
|
|
당 |
|
|
당 |
|
|
당 |
|
|
장구 |
∅ |
|
|
∅ |
|
|
∅ |
|
|
∅ |
|
|
북 |
쿵 |
|
|
쿵 |
|
|
쿵 |
|
|
쿵 |
|
|
징 |
징 |
|
|
징 |
|
|
징 |
|
|
징 |
|
|
① 일반적으로 풍물을 시작할때 굿으로 들어감을 신호하는
헛장단으로써 굿내는 가락 또는 너름굿이라고도 한다.
② 느리게 시작해서 조금씩 빠르게 몰아서 맺는 4박의 장단이다.
③ 점점 조금씩 빨리 친다
2. 인사
|
1 |
2 |
3 |
2 |
2 |
3 |
3 |
2 |
3 |
4 |
2 |
3 |
구음 |
안 |
녕 |
|
안 |
녕 |
|
안녕 |
하 |
세 |
요 |
|
딱 |
쇠 |
당 |
당 |
|
당 |
당 |
|
다다 |
당 |
당 |
당 |
|
딱 |
장구 |
∅ |
∅ |
|
∅ |
∅ |
|
∅∅ |
∅ |
∅ |
∅ |
|
/ |
북 |
쿵 |
쿵 |
|
쿵 |
쿵 |
|
쿠쿠 |
쿵 |
쿵 |
쿵 |
|
딱 |
징 |
징 |
|
|
|
|
|
징 |
|
|
|
|
|
① 풍물을 시작할때 치는 일반적인 인사가락이다.
② 굿거리 배의 4박의 장단이다.
3. 다드래기 ( 이채, 휘모리 )
|
1 |
2 |
3 |
4 |
2 |
2 |
3 |
4 |
시작 |
당 |
기 |
닥 |
기 |
당 |
기 |
닥 |
기 |
쇠 |
당 |
기 |
당 |
기 |
당 |
기 |
당 |
기 |
당 |
|
다 |
당 |
|
다 |
당 |
|
다 |
다 |
당 |
|
다 |
다 |
당 |
|
당 |
|
다 |
다 |
당 |
|
다 |
다 |
장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북 |
쿵 |
|
쿵 |
|
쿵 |
|
쿵 |
|
쿵 |
|
쿵 |
|
쿵 |
|
쿵 |
|
쿵 |
|
쿠 |
|
쿵 |
|
쿠 |
|
쿵 |
|
쿠 |
|
쿵 |
|
쿠 |
|
징 |
징 |
|
|
|
|
|
|
|
마침 |
다 |
다 |
당 |
|
당 |
|
닥 |
|
다 |
르 |
르 |
르 |
· |
· |
· |
· |
① 덧배기, 굿거리와 함께 가장 많이 쓰이는 기본가락이다.
② 달아서 빨리 치는 가락이며, 풍물놀이에서 다짐굿에 많이 쓰인다.
4. 덧배기 ( 삼채, 자진모리 )
|
1 |
2 |
3 |
2 |
2 |
3 |
3 |
2 |
3 |
4 |
2 |
3 |
시작 |
당 |
|
다 |
당 |
|
다 |
당 |
|
다 |
다 |
당 |
|
쇠 |
당 |
|
다 |
당 |
|
다 |
당 |
|
다 |
다 |
당 |
|
다 |
당 |
|
당 |
|
다 |
당 |
|
다 |
다 |
당 |
|
당 |
|
다 |
다 |
당 |
|
당 |
|
다 |
다 |
당 |
|
다 |
다 |
다 |
당 |
|
다 |
당 |
|
다 |
다 |
당 |
|
마침 |
당 |
|
당 |
|
당 |
|
당 |
|
다 |
다 |
당 |
|
다 |
당 |
|
다 |
당 |
|
당 |
|
|
닥 |
|
|
장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북 |
쿵 |
|
|
|
|
|
쿵 |
|
쿵 |
|
|
|
징 |
징 |
|
|
|
|
|
|
|
|
|
|
|
① 삼채 (전라도), 자진모리 (춤, 소리 장단에 쓰일 때)라고도 부른다.
② 민요를 부르거나 춤을 출때, 행진을 할때 많이 쓰이는 장단이다.
③ 굿거리와 함께 덧배기는 우리 고유의 가장 기본 장단이다.
④ 3분박의 보통 빠르기의 4박자이다.
⑤ 군밤타령과 같은 경쾌한 곡들에 사용되는 장단이다.
5. 굿거리
|
1 |
2 |
3 |
2 |
2 |
3 |
3 |
2 |
3 |
4 |
2 |
3 |
쇠 |
당 |
|
다 |
당 |
|
다 |
당 |
기 |
당 |
당 |
|
다 |
당 |
당 |
|
당 |
|
다 |
당 |
기 |
당 |
당 |
|
다 |
당 |
기 |
당 |
당 |
다다 |
다 |
당 |
기 |
당 |
당 |
|
다 |
당 |
다다 |
다 |
당 |
다다 |
다 |
당 |
기 |
당 |
당 |
|
다 |
장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북 |
쿵 |
|
쿠 |
쿵 |
|
쿠 |
쿵 |
|
딱 |
엇 |
딱 |
|
징 |
징 |
|
|
|
|
|
|
|
|
|
|
|
① 민요를 부르거나 춤을 출때 가장 많이 쓰이는 대표적인 장단이다.
② 6/8 박자 또는 12/8 박자로 표기되는 느린 빠르기 가락의 기본이 되는
4박자 가락이다.
③ 다양한 잔가락이 있으며, 여유와 변화와 흥이 가득 담긴 어깨춤이 절로
나는 부드러우면서도 경쾌한 장단이다.
1. 점고 (정고, 점구)
북독주
|
1 |
2 |
3 |
2 |
2 |
3 |
3 |
2 |
3 |
|
|
|
|
|
|
|
북 |
쿵 |
쿵 |
|
쿵 |
쿵 |
|
쿵 |
|
쿵 |
쿵 |
|
쿵 |
쿵 |
쿵 |
··· |
× 2 |
쿵 |
쿵 |
|
쿵 |
쿵 |
|
쿵 |
|
쿵 |
|
|
|
|
▶▶▶ 북만 연주하여 장엄하고 힘있게 연주한다. 끝 부분에는 잠시의 여유를 주고 맺는다.
일체
쇠 |
당 |
당 |
당 |
당 |
당 |
당 |
당 |
당 |
당 |
당 |
당 |
당 |
··· |
장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북 |
쿵 |
쿵 |
쿵 |
쿵 |
쿵 |
쿵 |
쿵 |
쿵 |
쿵 |
쿵 |
쿵 |
쿵 |
··· |
징 |
징 |
징 |
징 |
징 |
징 |
징 |
징 |
징 |
징 |
징 |
징 |
징 |
··· |
▶▶▶ 아주 느리게 부터 점점 빨라지며, 치배들 간에 호흡을 끝까지 맞추어 친다.
2. 쩍쩍이
동리삼채
|
1 |
2 |
3 |
2 |
2 |
3 |
3 |
2 |
3 |
4 |
2 |
3 |
|
|
상쇠 |
당 |
기 |
당 |
당 |
기 |
당 |
당 |
기 |
당 |
답 |
당 |
|
|
|
쇠 |
당 |
기 |
당 |
당 |
기 |
당 |
당 |
기 |
당 |
당 |
당 |
|
|
× 3 |
당 |
|
|
닥 |
|
닥 |
|
닥 |
|
닥 |
|
|
× 2 |
장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3 |
∅ |
|
|
/ |
|
/ |
|
/ |
|
/ |
|
|
× 2 |
북 |
쿵 |
구 |
쿵 |
쿵 |
구 |
쿵 |
쿵 |
구 |
쿵 |
쿵 |
쿵 |
|
|
× 3 |
쿵 |
|
|
딱 |
|
딱 |
|
딱 |
|
딱 |
|
|
× 2 |
징 |
징 |
|
|
징 |
|
|
징 |
|
|
징 |
|
|
|
× 3 |
징 |
|
|
|
|
|
|
|
|
|
|
|
× 2 |
▶▶▶ 속도는 약간 느리고 소리는 작게, 음이 강하면서 끊어지는 느낌으로 친다.
연결 가락
|
1 |
2 |
3 |
2 |
2 |
3 |
3 |
2 |
3 |
4 |
2 |
3 |
|
쇠 |
당 |
당 |
당 |
당 |
당 |
당 |
당 |
당 |
당 |
당 |
당 |
|
|
장구 |
∅ |
∅ |
∅ |
∅ |
∅ |
∅ |
∅ |
∅ |
∅ |
∅ |
∅ |
|
|
북 |
쿵 |
쿵 |
쿵 |
쿵 |
쿵 |
쿵 |
쿵 |
쿵 |
쿵 |
쿵 |
쿵 |
|
|
징 |
징 |
|
|
징 |
|
|
징 |
|
|
징 |
|
|
|
▶▶▶ 점점 고조되는 느낌으로 친다.
타령장단
|
1 |
2 |
3 |
2 |
2 |
3 |
3 |
2 |
3 |
4 |
2 |
3 |
쇠 |
당 |
|
|
닥 |
|
닥 |
당 |
|
닥 |
얼 |
~ |
쑤 |
당 |
|
|
닥 |
|
닥 |
당 |
|
닥 |
절 |
~ |
쑤 |
장구 |
∅ |
|
|
/ |
|
/ |
∅ |
|
/ |
얼 |
~ |
쑤 |
∅ |
|
|
/ |
|
/ |
∅ |
|
/ |
절 |
~ |
쑤 |
북 |
쿵 |
|
|
딱 |
|
딱 |
쿵 |
|
딱 |
얼 |
~ |
쑤 |
쿵 |
|
|
딱 |
|
딱 |
쿵 |
|
딱 |
절 |
~ |
쑤 |
징 |
징 |
|
|
|
|
|
|
|
|
얼 |
~ |
쑤 |
징 |
|
|
|
|
|
|
|
|
절 |
~ |
쑤 |
|
1 |
2 |
3 |
4 |
5 |
2 |
2 |
3 |
4 |
5 |
3 |
2 |
3 |
4 |
5 |
4 |
2 |
3 |
4 |
5 |
쇠 |
다 |
르 |
르 |
르 |
··· |
∨ |
|
다 |
당 |
|
당 |
|
당 |
|
다 |
당 |
|
다 |
당 |
|
장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북 |
쿠 |
르 |
르 |
르 |
··· |
쿵 |
|
구 |
쿵 |
|
쿵 |
|
쿵 |
|
구 |
쿵 |
|
구 |
쿵 |
|
징 |
징 |
|
|
|
|
징 |
|
|
|
|
징 |
|
|
|
|
|
|
|
|
|
▶▶▶ 가락의 끝에 “얼~쑤”, “절~쑤”하는 추임새를 힘차게 외친다.
전체 가락을 3번정도 반복한다.
맺음 가락
|
1 |
2 |
3 |
4 |
5 |
2 |
2 |
3 |
4 |
5 |
쇠 |
당 |
|
당 |
|
|
|
|
|
|
|
장구 |
∅ |
|
∅ |
|
|
○ |
|
/ |
/ |
|
북 |
쿵 |
|
쿵 |
|
|
|
|
|
|
|
징 |
징 |
|
|
|
|
|
|
|
|
|
3. 칠채 (길군악 칠채, 길가락 칠채)
쇠 |
1 |
2 |
3 |
2 |
2 |
3 |
2 |
3 |
4 |
2 |
5 |
2 |
3 |
6 |
2 |
3 |
7 |
2 |
3 |
8 |
2 |
상쇠 |
당 |
|
다 |
당 |
|
당 |
|
다 |
당 |
|
당 |
|
다 |
당 |
|
다 |
당 |
|
다 |
당 |
|
①×2 |
당 |
|
다 |
당 |
|
당 |
|
다 |
당 |
|
당 |
|
다 |
당 |
|
다 |
당 |
|
다 |
당 |
|
②×2 |
당 |
그 |
다 |
당 |
|
당 |
그 |
다 |
당 |
|
당 |
그 |
다 |
당 |
그 |
다 |
당 |
그 |
다 |
당 |
|
③×2 |
다 |
다 |
다 |
당 |
|
다 |
다 |
다 |
당 |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당 |
|
④×2 |
다 다 다 다 |
당 |
|
다 다 다 다 |
당 |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당 |
|
⑤ |
∨ |
|
다 |
당 |
|
∨ |
|
다 |
당 |
|
∨ |
|
다 |
∨ |
|
다 |
∨ |
|
다 |
당 |
|
⑥ |
∨ |
다 |
다 |
당 |
|
∨ |
다 |
다 |
당 |
|
∨ |
다 |
다 |
∨ |
다 |
다 |
∨ |
다 |
다 |
당 |
|
⑦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쇠 |
9 |
2 |
3 |
10 |
2 |
11 |
2 |
12 |
2 |
3 |
13 |
2 |
3 |
14 |
2 |
상쇠 |
당 |
|
다 |
당 |
|
당 |
|
당 |
|
다 |
당 |
|
답 |
|
|
①×2 |
당 |
|
다 |
당 |
|
당 |
|
당 |
|
다 |
당 |
|
다 |
당 |
|
②×2 |
당 |
그 |
다 |
당 |
|
당 |
|
당 |
그 |
다 |
당 |
그 |
다 |
당 |
|
③×2 |
다 |
다 |
다 |
당 |
|
다 |
다 |
당 |
|
다 |
당 |
|
다 |
당 |
|
④×2 |
다 다 다 다 |
당 |
|
다 |
다 |
당 |
|
다 |
당 |
|
다 |
당 |
|
⑤ |
∨ |
|
다 |
당 |
|
∨ |
|
당 |
|
다 |
당 |
|
다 |
당 |
|
⑥ |
∨ |
다 |
다 |
당 |
|
∨ |
|
당 |
|
다 |
당 |
|
다 |
당 |
|
⑦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당 |
|
다 |
당 |
|
다 |
당 |
|
장구 |
1 |
2 |
3 |
2 |
2 |
3 |
2 |
3 |
4 |
2 |
5 |
2 |
3 |
6 |
2 |
3 |
7 |
2 |
3 |
8 |
2 |
①×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②×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③×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④×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⑤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⑦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구 |
9 |
2 |
3 |
10 |
2 |
11 |
2 |
12 |
2 |
3 |
13 |
2 |
3 |
14 |
2 |
①×2 |
∅ |
|
∅ |
∅ |
|
∅ |
|
∅ |
|
∅ |
∅ |
|
∅ |
∅ |
|
②×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③×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④×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⑤⑥ |
∅ |
|
/ |
○ |
|
∅ |
|
∅ |
|
/ |
○ |
|
/ |
○ |
|
⑦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
2 |
3 |
2 |
2 |
3 |
2 |
3 |
4 |
2 |
5 |
2 |
3 |
6 |
2 |
3 |
7 |
2 |
3 |
8 |
2 |
북 |
쿵 |
|
구 |
쿵 |
|
쿵 |
|
구 |
쿵 |
|
쿵 |
|
구 |
쿵 |
|
구 |
쿵 |
|
구 |
쿵 |
|
징 |
징 |
|
|
|
|
징 |
|
|
|
|
징 |
|
|
징 |
|
|
징 |
|
|
|
|
|
9 |
2 |
3 |
10 |
2 |
11 |
2 |
12 |
2 |
3 |
13 |
2 |
3 |
14 |
2 |
북 |
쿵 |
|
구 |
쿵 |
|
쿵 |
|
쿵 |
|
구 |
쿵 |
|
구 |
쿵 |
|
징 |
징 |
|
|
|
|
징 |
|
|
|
|
|
|
|
|
|
▶▶▶ 원박을 작고 느리게 치다가 변가락을 섞어 치며 점차 빠른 속도로 몰아간다.
북과 징은 원박으로 계속 연주한다.
4. 육채(길군악 육채, 길가락 육채)
기본가락 (2+2+3+3, 또는 4+6 의 얼개)
|
1 |
2 |
2 |
2 |
3 |
2 |
3 |
4 |
2 |
3 |
쇠 |
당 |
|
당 |
|
다 |
당 |
|
다 |
당 |
|
장구 |
∅ |
|
∅ |
|
∅ |
○ |
|
∅ |
○ |
|
북 |
쿵 |
|
쿵 |
|
구 |
쿵 |
|
구 |
쿵 |
|
징 |
징 |
|
|
|
|
|
|
|
|
|
쇠:장구 주고 받기
쇠 |
1 |
2 |
2 |
2 |
3 |
2 |
3 |
4 |
2 |
3 |
①×2 |
당 |
|
당 |
|
다 |
당 |
|
다 |
당 |
|
②×2 |
다 |
다 |
당 |
|
다 |
당 |
|
다 |
당 |
|
③×2 |
당 |
기 |
당 |
기 |
다 |
당 |
|
다 |
당 |
|
④×2 |
다 |
다 |
다 |
당 |
다 |
당 |
|
다 |
당 |
|
⑤×2 |
다 |
다 |
당 |
|
다 |
다 |
다 |
다 |
당 |
|
⑥×2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다 |
당 |
|
장구 |
1 |
2 |
2 |
2 |
3 |
2 |
3 |
4 |
2 |
3 |
①×2 |
∅ |
|
∅ |
|
∅ |
○ |
|
∅ |
○ |
|
②×2 |
∅ |
∅ |
∅ |
|
∅ |
○ |
|
∅ |
○ |
|
③×2 |
○ |
/ |
○ |
/ |
∅ |
○ |
|
∅ |
○ |
|
④×2 |
∅ |
∅ |
∅ |
∅ |
∅ |
○ |
|
∅ |
○ |
|
⑤×2 |
∅ |
∅ |
∅ |
|
∅ |
∅ |
∅ |
∅ |
∅ |
|
⑥×2 |
∅ |
∅ |
∅ |
∅ |
∅ |
∅ |
∅ |
∅ |
∅ |
|
연결가락 (5+5 의 얼개)
|
1 |
2 |
3 |
4 |
5 |
2 |
2 |
3 |
4 |
5 |
|
쇠 |
당 |
|
당 |
|
다 |
당 |
|
다 |
당 |
|
× 8 |
장구 |
∅ |
|
∅ |
|
∅ |
∅ |
|
∅ |
∅ |
|
× 8 |
북 |
쿵 |
|
쿵 |
|
구 |
쿵 |
|
구 |
쿵 |
|
× 8 |
징 |
징 |
|
|
|
|
|
|
|
|
|
× 8 |
늦은삼채 (3+3 의 얼개)
|
1 |
2 |
3 |
2 |
2 |
3 |
쇠 |
당 |
당 |
당 |
당 |
당 |
당 |
장구 |
∅ |
∅ |
∅ |
∅ |
∅ |
∅ |
북 |
쿵 |
쿵 |
쿵 |
쿵 |
쿵 |
쿵 |
징 |
징 |
|
|
|
|
|
▶▶▶ ① 기본가락(4+4)으로 시작하여 진행하다가
② 쇠와 장구가 서로 주고 받는다.
③ 기본가락으로 돌아와 마당삼채(3+3+3+3)로 매끄럽게 넘어가기 위해 중간에 ④ 5+5의 형태로 얼개가 바뀌었다가 그 각 각의 5가 줄어들어
⑤ 3+3의 얼개로 바뀌게 된다.
5. 마당삼채
내는 가락
|
1 |
2 |
3 |
2 |
2 |
3 |
3 |
2 |
3 |
4 |
2 |
3 |
쇠 |
당 |
|
다 |
당 |
|
다 |
당 |
그 |
다 |
당 |
|
다 |
장구 |
∅ |
|
|
∅ |
|
|
∅ |
|
/ |
○ |
/ |
/ |
북 |
쿵 |
|
|
쿵 |
|
|
쿵 |
|
구 |
쿵 |
|
|
징 |
징 |
|
|
|
|
|
징 |
|
|
|
|
|
본 가락
쇠 |
1 |
2 |
3 |
2 |
2 |
3 |
3 |
2 |
3 |
4 |
2 |
3 |
|
① |
당 |
|
다 |
당 |
|
다 |
당 |
그 |
다 |
당 |
|
다 |
··· |
② |
당 |
|
다 |
당 |
|
다 |
당 |
|
다 |
당 |
|
다 |
··· |
③ |
∨ |
딱 |
|
딱 |
|
딱 |
∨ |
딱 |
|
딱 |
|
딱 |
··· |
장구 |
1 |
2 |
3 |
2 |
2 |
3 |
3 |
2 |
3 |
4 |
2 |
3 |
|
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②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③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
2 |
3 |
2 |
2 |
3 |
3 |
2 |
3 |
4 |
2 |
3 |
|
북 |
쿵 |
|
구 |
쿵 |
|
구 |
쿵 |
|
구 |
쿵 |
|
구 |
··· |
징 |
징 |
|
|
|
|
|
징 |
|
|
|
|
|
··· |
맺는 가락
|
1 |
2 |
3 |
2 |
2 |
3 |
3 |
2 |
3 |
4 |
2 |
3 |
쇠 |
당 |
|
다 |
당 |
|
다 |
다 |
다 |
다 |
당 |
|
|
장구 |
○ |
/ |
/ |
○ ̄ |
/ |
/ |
○ |
/ |
/ |
○ ̄ |
|
|
북 |
쿵 |
|
구 |
쿵 |
|
구 |
쿵 |
|
|
쿵 |
|
|
징 |
징 |
|
|
|
|
|
징 |
|
|
|
|
|
6. 휘모리
내는 가락
|
1 |
2 |
3 |
4 |
2 |
2 |
3 |
4 |
1 |
2 |
3 |
4 |
2 |
2 |
3 |
4 |
|
쇠 |
당 |
|
당 |
|
당 |
|
닥 |
|
당 |
|
|
|
|
|
|
|
×2 |
장구 |
∅ |
|
|
/ |
○ ̄ |
/ |
○ ̄ |
|
∅ |
|
|
|
|
|
|
|
북 |
쿵 |
|
|
|
|
|
|
|
쿵 |
|
|
|
|
|
|
|
×4 |
징 |
징 |
|
|
|
|
|
|
|
징 |
|
|
|
|
|
|
|
쇠와 장구가 2번씩 주고 받고 북과 징은 첫박에 맞춰 친다. |
|
1 |
2 |
3 |
4 |
2 |
2 |
3 |
4 |
1 |
2 |
3 |
4 |
2 |
2 |
3 |
4 |
|
쇠 |
당 |
|
당 |
|
당 |
|
닥 |
|
당 |
|
당 |
|
당 |
|
닥 |
|
|
당 |
|
|
|
당 |
|
|
|
당 |
|
|
|
당 |
|
|
|
|
장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북 |
쿵 |
|
|
|
쿵 |
|
|
|
쿵 |
|
|
|
쿵 |
|
|
|
×2 |
징 |
징 |
|
|
|
|
|
|
|
징 |
|
|
|
|
|
|
|
×2 |
|
1 |
2 |
3 |
4 |
2 |
2 |
3 |
4 |
1 |
2 |
3 |
4 |
2 |
2 |
3 |
4 |
|
쇠 |
|
|
|
|
|
|
|
|
당 |
|
당 |
|
당 |
|
|
|
×2 |
장구 |
|
|
|
|
|
|
|
|
∅ |
|
∅ |
|
∅ |
|
|
|
북 |
쿵 |
|
쿵 |
|
쿵 |
|
|
|
|
|
|
|
|
|
|
|
징 |
징 |
|
|
|
|
|
|
|
징 |
|
|
|
|
|
|
|
|
1 |
2 |
3 |
4 |
2 |
2 |
3 |
4 |
1 |
2 |
3 |
4 |
2 |
2 |
3 |
4 |
쇠 |
|
|
|
|
당 |
|
당 |
|
|
|
|
|
당 |
|
당 |
|
장구 |
|
|
|
|
∅ |
|
∅ |
|
|
|
|
|
∅ |
|
∅ |
|
북 |
쿵 |
|
쿵 |
|
|
|
|
|
쿵 |
|
쿵 |
|
|
|
|
|
징 |
징 |
|
|
|
|
|
|
|
징 |
|
|
|
|
|
|
|
|
1 |
2 |
3 |
4 |
2 |
2 |
3 |
4 |
1 |
2 |
3 |
4 |
2 |
2 |
3 |
4 |
쇠 |
∨ |
|
당 |
|
∨ |
|
당 |
|
∨ |
|
당 |
|
∨ |
|
당 |
|
장구 |
∨ |
|
∅ |
|
∨ |
|
∅ |
|
∨ |
|
∅ |
|
∨ |
|
∅ |
|
북 |
쿵 |
|
|
|
쿵 |
|
|
|
쿵 |
|
|
|
쿵 |
|
|
|
징 |
징 |
|
|
|
|
|
|
|
징 |
|
|
|
|
|
|
|
|
1 |
2 |
3 |
4 |
2 |
2 |
3 |
4 |
1 |
2 |
3 |
4 |
2 |
2 |
3 |
4 |
쇠 |
∨ |
|
당 |
|
당 |
|
당 |
|
당 |
|
당 |
|
당 |
|
당 |
|
장구 |
∨ |
|
∅ |
|
∅ |
|
∅ |
|
∅ |
|
∅ |
|
∅ |
|
∅ |
|
북 |
쿵 |
|
쿵 |
|
쿵 |
|
쿵 |
|
쿵 |
|
쿵 |
|
쿵 |
|
쿵 |
|
징 |
징 |
|
|
|
|
|
|
|
징 |
|
|
|
|
|
|
|
|
1 |
2 |
3 |
4 |
2 |
2 |
3 |
4 |
1 |
2 |
3 |
4 |
2 |
2 |
3 |
4 |
쇠 |
다 |
다 |
당 |
|
다 |
다 |
당 |
|
다 |
다 |
당 |
|
다 |
다 |
당 |
|
장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북 |
쿵 |
|
쿠 |
|
쿵 |
|
쿠 |
|
쿵 |
|
쿠 |
|
쿵 |
|
쿠 |
|
징 |
징 |
|
|
|
|
|
|
|
징 |
|
|
|
|
|
|
|
짝쇠(짝두름, 짝드림)
|
1 |
2 |
3 |
4 |
2 |
2 |
3 |
4 |
1 |
2 |
3 |
4 |
2 |
2 |
3 |
4 |
쇠 |
당 |
|
당 |
|
당 |
|
닥 |
|
당 |
|
당 |
|
당 |
|
닥 |
|
장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북 |
쿵 |
|
쿠 |
|
쿵 |
|
쿠 |
|
쿵 |
|
쿠 |
|
쿵 |
|
쿠 |
|
징 |
징 |
|
|
|
|
|
|
|
징 |
|
|
|
|
|
|
|
|
1 |
2 |
3 |
4 |
2 |
2 |
3 |
4 |
1 |
2 |
3 |
4 |
2 |
2 |
3 |
4 |
|
상쇠 |
당 |
|
다 |
당 |
|
다 |
당 |
|
당 |
|
당 |
|
당 |
|
|
|
×2 |
부쇠 |
당 |
|
다 |
당 |
|
다 |
당 |
|
답 |
|
|
|
당 |
|
|
|
상쇠 |
당 |
|
다 |
당 |
|
다 |
당 |
|
당 |
|
|
|
|
|
|
|
×2 |
부쇠 |
당 |
|
다 |
당 |
|
다 |
당 |
|
당 |
|
|
|
|
|
|
|
상쇠 |
당 |
|
다 |
당 |
|
다 |
당 |
|
당 |
|
|
|
|
|
|
|
×4 |
부쇠 |
|
|
|
|
|
|
|
|
당 |
|
다 |
당 |
|
다 |
당 |
|
당 |
장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북 |
쿵 |
|
쿠 |
|
쿵 |
|
쿠 |
|
쿵 |
|
쿠 |
|
쿵 |
|
쿠 |
|
|
징 |
징 |
|
|
|
|
|
|
|
징 |
|
|
|
|
|
|
|
|
|
1 |
2 |
3 |
4 |
2 |
2 |
3 |
4 |
1 |
2 |
3 |
4 |
2 |
2 |
3 |
4 |
|
상쇠 |
당 |
|
|
|
|
|
|
|
|
|
|
|
|
|
|
|
×2 |
부쇠 |
|
|
|
|
|
|
|
|
당 |
|
|
|
|
|
|
|
상쇠 |
당 |
|
|
|
|
|
|
|
당 |
|
|
|
|
|
|
|
×2 |
부쇠 |
|
|
|
|
당 |
|
|
|
|
|
|
|
당 |
|
|
|
장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북 |
쿵 |
|
쿠 |
|
쿵 |
|
쿠 |
|
쿵 |
|
쿠 |
|
쿵 |
|
쿠 |
|
|
징 |
징 |
|
|
|
|
|
|
|
징 |
|
|
|
|
|
|
|
|
|
1 |
2 |
3 |
4 |
2 |
2 |
3 |
4 |
1 |
2 |
3 |
4 |
2 |
2 |
3 |
4 |
|
상쇠 |
당 |
|
|
|
당 |
|
|
|
당 |
|
|
|
당 |
|
|
|
×4 |
부쇠 |
|
|
당 |
|
|
|
당 |
|
|
|
당 |
|
|
|
당 |
|
쇠 : 4장단은 크게, 4장단은 작게 주고 받는다. |
상쇠 |
답 |
|
당 |
|
|
|
|
|
답 |
|
당 |
|
|
|
|
|
×2 |
부쇠 |
|
|
|
|
답 |
|
당 |
|
|
|
|
|
답 |
|
당 |
|
상쇠 |
다 |
다 |
당 |
|
|
|
|
|
다 |
다 |
당 |
|
|
|
|
|
×2 |
부쇠 |
|
|
|
|
다 |
다 |
당 |
|
|
|
|
|
다 |
다 |
당 |
|
상쇠 |
∨ |
다 |
다 |
당 |
|
|
|
|
∨ |
다 |
다 |
당 |
|
|
|
|
×2 |
부쇠 |
|
|
|
|
∨ |
다 |
다 |
당 |
|
|
|
|
∨ |
다 |
다 |
당 |
상쇠 |
당 |
|
|
기 |
당 |
|
|
기 |
당 |
|
|
기 |
당 |
|
|
기 |
×2 |
부쇠 |
당 |
|
|
기 |
당 |
|
|
기 |
당 |
|
|
기 |
당 |
|
|
기 |
4번씩 주고받기 2회 / 2번씩 주고받기 2회 / 1번씩 주고받기 4회
같이 소리 커지기 8회 / 같이 소리 작아지기 8회 |
장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북 |
쿵 |
|
쿠 |
|
쿵 |
|
쿠 |
|
쿵 |
|
쿠 |
|
쿵 |
|
쿠 |
|
|
징 |
징 |
|
|
|
|
|
|
|
징 |
|
|
|
|
|
|
|
|
|
1 |
2 |
3 |
4 |
2 |
2 |
3 |
4 |
1 |
2 |
3 |
4 |
2 |
2 |
3 |
4 |
상쇠 |
당 |
|
다 |
다 |
당 |
|
다 |
다 |
당 |
|
다 |
다 |
당 |
|
다 |
다 |
부쇠 |
∨ |
다 |
다 |
당 |
∨ |
다 |
다 |
당 |
∨ |
다 |
다 |
당 |
∨ |
다 |
다 |
당 |
상쇠 |
닥 |
|
다 |
다 |
닥 |
|
다 |
다 |
닥 |
|
다 |
다 |
닥 |
|
다 |
다 |
부쇠 |
∨ |
다 |
다 |
닥 |
∨ |
다 |
다 |
닥 |
∨ |
다 |
다 |
닥 |
∨ |
다 |
다 |
닥 |
장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북 |
쿵 |
|
쿠 |
|
쿵 |
|
쿠 |
|
쿵 |
|
쿠 |
|
쿵 |
|
쿠 |
|
징 |
징 |
|
|
|
|
|
|
|
징 |
|
|
|
|
|
|
|
|
1 |
2 |
3 |
4 |
2 |
2 |
3 |
4 |
1 |
2 |
3 |
4 |
2 |
2 |
3 |
4 |
상쇠 |
당 |
|
당 |
|
당 |
|
닥 |
|
당 |
|
당 |
|
당 |
|
닥 |
|
장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북 |
쿵 |
|
쿠 |
|
쿵 |
|
쿠 |
|
쿵 |
|
쿠 |
|
쿵 |
|
쿠 |
|
징 |
징 |
|
|
|
|
|
|
|
징 |
|
|
|
|
|
|
|
|
1 |
2 |
3 |
4 |
2 |
2 |
3 |
4 |
1 |
2 |
3 |
4 |
2 |
2 |
3 |
4 |
쇠 |
당 |
|
|
|
당 |
|
|
|
당 |
|
|
|
당 |
|
|
|
장구 |
∅ |
|
|
|
∅ |
|
|
|
∅ |
|
|
|
∅ |
|
|
|
북 |
쿵 |
|
|
|
쿵 |
|
|
|
쿵 |
|
|
|
쿵 |
|
|
|
징 |
징 |
|
|
|
징 |
|
|
|
징 |
|
|
|
징 |
|
|
|
‘허이’ 추임새를 넣어 다함께 친다 |
|
1 |
2 |
3 |
4 |
2 |
2 |
3 |
4 |
1 |
2 |
3 |
4 |
2 |
2 |
3 |
4 |
상쇠 |
당 |
|
다 |
다 |
당 |
|
다 |
다 |
당 |
|
다 |
다 |
당 |
|
다 |
다 |
장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북 |
쿵 |
|
쿠 |
|
쿵 |
|
쿠 |
|
쿵 |
|
쿠 |
|
쿵 |
|
쿠 |
|
징 |
징 |
|
|
|
징 |
|
|
|
징 |
|
|
|
징 |
|
|
|
|
1 |
2 |
3 |
4 |
2 |
2 |
3 |
4 |
1 |
2 |
3 |
4 |
2 |
2 |
3 |
4 |
상쇠 |
당 |
|
당 |
|
다 |
다 |
당 |
|
당 |
|
|
|
다 |
다 |
당 |
|
당 |
|
|
|
|
|
|
|
|
|
|
|
|
|
|
|
장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북 |
쿵 |
|
쿠 |
|
쿵 |
|
쿠 |
|
쿵 |
|
|
|
쿵 |
|
|
|
쿵 |
|
|
|
|
|
|
|
|
|
|
|
|
|
|
|
징 |
징 |
|
|
|
징 |
|
|
|
징 |
|
|
|
징 |
|
|
|
징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