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료실/가락

[스크랩] 웃다리풍물(사물놀이) 가락보

대고잽이 2010. 4. 3. 16:34

 

 

웃다리풍물(사물놀이)

웃다리풍물, 웃다리사물놀이는 현재 대전직할시 무형문화재 제1호로 재지정되어 있는 <웃다리농악>을 1978년 김덕수 사물놀이패가 첫 공연을 하면서 사용하게 된 말이다.

웃다리풍물(농악)은 지역에 따른 분류 명칭으로서 충청·경기지역의 농악을 가리킨다. 즉 지역적으로 충청·경기의 웃다리농악과 호남지역의 우도농악, 좌도농악, 영남농악, 영동농악으로 나눌 수 있다. <남사당패 연구〉에 의하면 웃다리가락이란 경기도와 충청도 지방의 풍물놀이를 가리키고 아랫다리가락이란 호남과 영남 지방의 풍물놀이를 가리킨다고도 한다.

웃다리풍물은 동리삼채, 길군악 7채, 6채, 자진가락, 짝쇠 등의 가락으로 엮어지는데 그 특징을 보면

첫째, 가장 큰 특징은 칠채가락과 무동타기이다.
특히 길군악 7채는 웃다리가락에서만 쓰이는 색다른 가락이다. 7채라는 말은 징을 치는 점수가 일곱이라 해서 붙은 이름이다.

두 번째로는, 꽹과리가락이 많이 쓰이며 특히 끝부분의 짝쇠는 웃다리풍물의 결정적인 맛거리라 할 수 있다. 짝쇠란 숫쇠와 암쇠가 가락을 주거니 받거니 하는 가락으로 마치 사랑하는 연인이 대화를 주고 받는 듯하여 듣기도 재미난다. 짝쇠는 원래 호남 지방의 풍물놀이에서 쓰였는데 웃다리풍물에서 더욱 세련되어졌다.

셋째, 웃다리풍물은 대체로 가락이 부드럽고 세밀하게 잘 구성되어 재미있고 매우 흥겹다. 웃다리농악이 다른 지역과 구분되는 이러한 특징은 황해도 일부 지역의 농악과도 일부 연관성이 있다. 국문학자 김헌선은 웃다리풍물이 경기도 무속가락과 깊은 관계가 있는 듯하다고 말하기도 한다. 충청·경기농악 가운데 지금도 연희되고 있는 대표적인 농악으로는 대전의 웃다리농악을 비롯 서울 남사당농악, 평택농악, 천안 흥타령농악, 안성 남사당농악 등이 있다.

 
가락보 모음 보기--> 내려받기



웃다리 사물놀


                   0. 기본가락 익히기

                   난타(일채,내드름), 인사, 다드래기(이채, 휘모리),

                          덧배기(삼채, 자진모리), 굿거리


1. 점고

 󰊱 북 독주

 󰊲 일채


2. 쩍쩍이

󰊱 동리삼채

 󰊲 타령장단


3. 칠채


4. 육채


5. 마당삼채


6. 짝쇠


   기본가락 익히기  



1. 난타 ( 일채, 내드름 )


  

 

1

2

3 

2

2

3

3

2

3

4

2

3

 

 

 

 

 

 

 

 

장구

 

 

 

 

 

 

 

 

 

 

 

 

 

 

 

 

징 

 

 

 

 

 

 

 

 


   ① 일반적으로 풍물을 시작할때 굿으로 들어감을 신호하는

      헛장단으로써 굿내는 가락 또는 너름굿이라고도 한다.

   ② 느리게 시작해서 조금씩 빠르게 몰아서 맺는 4박의 장단이다.

   ③ 점점 조금씩 빨리 친다


2. 인사


  

 

1

2

3

2

2

3

3

2

3

4

2

3

구음

 

 

안녕

 

 

 

다다

 

장구

 

 

∅∅

 

/

 

 

쿠쿠

 

 

 

 

 

 

 

 

 

 

 


   ① 풍물을 시작할때 치는 일반적인 인사가락이다.

   ② 굿거리 배의 4박의 장단이다.

3. 다드래기 ( 이채, 휘모리 )



  

 

1

2

3 

4

2

2

3

4

시작

  

  

  

  

  

  

  

  

 

 

 

 

 

 

 

장구

 

 

○ ̄

/

○ ̄

 

 

·

·

○ ̄

/

○ ̄

 

/

 

○ ̄

/

○ ̄

 

/

○ ̄

 

/

○ ̄

 

 

 

 

 

 

 

 

 

 

 

 

 

 

 

 

 

 

 

 

 

 

 

 

마침

 

 

 

·

·

·

·


  ① 덧배기, 굿거리와 함께 가장 많이 쓰이는 기본가락이다.

  ② 달아서 빨리 치는 가락이며, 풍물놀이에서 다짐굿에 많이 쓰인다.


4. 덧배기 ( 삼채, 자진모리 )


  

 

1

2

3

2

2

3

3

2

3

4

2

3

시작

 

 

 

 

 

 

 

 

 

당 

 

 

 

 

 

 

 

 

 

 

마침

 

 

당 

 

당 

 

 

 

 

 

 

 

 

장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① 삼채 (전라도), 자진모리 (춤, 소리 장단에 쓰일 때)라고도 부른다.

  ② 민요를 부르거나 춤을 출때, 행진을 할때 많이 쓰이는 장단이다.

  ③ 굿거리와 함께 덧배기는 우리 고유의 가장 기본 장단이다.

  ④ 3분박의 보통 빠르기의 4박자이다.

  ⑤ 군밤타령과 같은 경쾌한 곡들에 사용되는 장단이다.

5. 굿거리


 

 

1

2

3

2

2

3

3

2

3

4

2

3

 

 

 

 

 

 

 

 

 

당 

다다

  기

 

다다

다다

  기

 

장구

 

/

 

 /

 

 /

 /

 

 

 

 /

 

 /

 /

 

 

/

··

·

 

 /

 /

 

··

·

··

·

 

 /

 /

 

 

 

 

 

 

 

 

 

 

 

 

 

 

 

 

  ① 민요를 부르거나 춤을 출때 가장 많이 쓰이는 대표적인 장단이다.

  ② 6/8 박자 또는 12/8 박자로 표기되는 느린 빠르기 가락의 기본이 되는

    4박자 가락이다.

  ③ 다양한 잔가락이 있으며, 여유와 변화와 흥이 가득 담긴 어깨춤이 절로

     나는 부드러우면서도 경쾌한 장단이다.


 1. 점고 (정고, 점구)


󰊱 북독주

 

 

1

2

3

2

2

3

3

2

3

 

 

 

 

 

 

 

 

 

 

 

···

× 2

 

 

 

 

 

 

 

▶▶▶ 북만 연주하여 장엄하고 힘있게 연주한다. 끝 부분에는 잠시의 여유를 주고 맺는다.


󰊲 일체

 

···

장구

···

···

···

▶▶▶ 아주 느리게 부터 점점 빨라지며, 치배들 간에 호흡을 끝까지 맞추어 친다.


2. 쩍쩍이


󰊱 동리삼채

 

 

1

2

3

2

2

3

3

2

3

4

2

3

 

 

상쇠

 

 

 

 

 

× 3

 

 

 

 

 

 

 

× 2

장구

/

/

/

 

 

× 3

 

 

/

 

/

 

/

 

/

 

 

× 2

 

 

× 3

 

 

 

 

 

 

 

× 2

 

 

 

 

 

 

 

 

 

× 3

 

 

 

 

 

 

 

 

 

 

 

× 2

▶▶▶ 속도는 약간 느리고 소리는 작게, 음이 강하면서 끊어지는 느낌으로 친다.

󰊲 연결 가락

 

 

1

2

3

2

2

3

3

2

3

4

2

3

 

 

 

장구

 

 

 

 

 

 

 

 

 

 

 

 

 

▶▶▶ 점점 고조되는 느낌으로 친다.



󰊳 타령장단

 

 

1

2

3

2

2

3

3

2

3

4

2

3

 

 

 

 

 

 

 

 

장구

 

 

/

 

/

 

/

 

 

/

 

/

 

/

 

 

 

 

 

 

 

 

 

 

 

 

 

 

 

 

 

 

 

 

 

 

 

 

 

 

1

2

3

4

5

2

2

3

4

5

3

2

3

4

5

4

2

3

4

5

···

 

 

 

 

 

 

장구

···

 

 

 

 

 

 

···

 

 

 

 

 

 

 

 

 

 

 

 

 

 

 

 

 

 

 

 

 

 

 


▶▶▶ 가락의 끝에 “얼~쑤”, “절~쑤”하는 추임새를 힘차게 외친다.

       전체 가락을 3번정도 반복한다.




󰊴 맺음 가락

 

 

1

2

3

4

5

2

2

3

4

5

 

 

 

 

 

 

 

 

장구

 

 

 

 

/

/

 

 

 

 

 

 

 

 

 

 

 

 

 

 

 

 

 

 





 3. 칠채 (길군악 칠채, 길가락 칠채)


 

1

2

3

2

2

3

2

3

4

2

5

2

3

6

2

3

7

2

3

8

2

상쇠

 

 

 

 

 

 

 

 

①×2

 

 

 

 

 

 

 

 

②×2

 

 

 

③×2

 

 

 

④×2

다 다 다

 

다 다 다

 

 

 

 

 

 

 

 

 

 

 

 

 

  

9

2

3

10

2

11

2

12

2

3

13

2

3

14

2

상쇠

 

 

 

 

 

 

 

①×2

 

 

 

 

 

 

②×2

 

 

 

③×2

 

 

 

 

④×2

다 다 다

 

 

 

 

 

 

 

 

 

 

 

 

 

 

 

 

 

 

 

장구

1

2

3

2

2

3

2

3

4

2

5

2

3

6

2

3

7

2

3

8

2

①×2

 

 

 

 

 

 

 

 

②×2

/

 

/

 

/

/

/

 

③×2

/

/

/

/

/

/

/

/

④×2

/

/

/

/

/

/

/

/

/

/

/

/

/

⑤⑥

 

/

 

 

/

 

 

/

 

/

 

/

 

   

장구

9

2

3

10

2

11

2

12

2

3

13

2

3

14

2

①×2

 

 

 

 

 

 

②×2

/

 

/

/

/

 

③×2

/

/

/

/

/

/

④×2

/

/

/

/

/

/

/

/

/

⑤⑥

 

/

 

 

 

/

 

/

 

 

 

 

     

 

 

1

2

3

2

2

3

2

3

4

2

5

2

3

6

2

3

7

2

3

8

2

 

 

 

 

 

 

 

 

 

 

 

 

 

 

 

 

 

 

 

 

 

 

 

 

 

 

9

2

3

10

2

11

2

12

2

3

13

2

3

14

2

 

 

 

 

 

 

 

 

 

 

 

 

 

 

 

 

 

 

 


▶▶▶ 원박을 작고 느리게 치다가 변가락을 섞어 치며 점차 빠른 속도로 몰아간다.

       북과 징은 원박으로 계속 연주한다.       


 4. 육채(길군악 육채, 길가락 육채)



󰊱 기본가락 (2+2+3+3, 또는 4+6 의 얼개)

 

 

1

2

2

2

3

2

3

4

2

3

 

 

 

 

장구

 

 

 

 

 

 

 

 

 

 

 

 

 

 

 

 

 




󰊲 쇠:장구 주고 받기


1

2

2

2

3

2

3

4

2

3

①×2

 

 

 

 

②×2

 

 

 

③×2

 

 

④×2

 

 

⑤×2

 

 

⑥×2

 

장구

1

2

2

2

3

2

3

4

2

3

①×2

 

 

 

 

②×2

 

 

 

③×2

/

/

 

 

④×2

 

 

⑤×2

 

 

⑥×2

 


󰊳 연결가락 (5+5 의 얼개)

 

 

1

2

3

4

5

2

2

3

4

5

 

 

 

 

 

× 8

장구

 

 

 

 

× 8

 

 

 

 

× 8

 

 

 

 

 

 

 

 

 

× 8



󰊴 늦은삼채 (3+3 의 얼개)

 

 

1

2

3

2

2

3

장구

 

 

 

 

 


▶▶▶ ① 기본가락(4+4)으로 시작하여 진행하다가

       ② 쇠와 장구가 서로 주고 받는다.

       ③ 기본가락으로 돌아와 마당삼채(3+3+3+3)로 매끄럽게 넘어가기 위해 중간에 ④ 5+5의 형태로 얼개가 바뀌었다가 그 각 각의 5가 줄어들어

       ⑤ 3+3의 얼개로 바뀌게 된다.





 5. 마당삼채


󰊱 내는 가락

 

1

2

3

2

2

3

3

2

3

4

2

3

 

 

 

장구

 

 

 

 

 

/

/

/

 

 

 

 

 

 

 

 

 

 

 

 

 

 

 

 

 


󰊲 본 가락

1

2

3

2

2

3

3

2

3

4

2

3

 

 

 

 

···

② 

 

 

 

 

···

③ 

 

 

 

 

···

장구

1

2

3

2

2

3

3

2

3

4

2

3

 

/

/

/

/

○ ̄

/

/

○ ̄

/

/

···

② 

/

/

○ ̄

/

/

/

/

/

/

···

③ 

/

/

○ ̄

/

/

/

/

○ ̄

/

/

···

 

 

1

2

3

2

2

3

3

2

3

4

2

3

 

 

 

 

 

···

 

 

 

 

 

 

 

 

 

 

···

󰊳 맺는 가락

 

1

2

3

2

2

3

3

2

3

4

2

3

 

 

 

 

장구

/

/

○ ̄

/

/

/

/

○ ̄

 

 

 

 

 

 

 

 

 

 

 

 

 

 

 

 

 

 

 6. 휘모리


󰊱 내는 가락

 

1

2

3

4

2

2

3

4

1

2

3

4

2

2

3

4

 

 

 

 

 

 

 

 

 

 

 

 

×2

장구

 

 

/

○ ̄

/

○ ̄

 

 

 

 

 

 

 

 

 

 

 

 

 

 

 

 

 

 

 

 

 

 

×4

 

 

 

 

 

 

 

 

 

 

 

 

 

 

쇠와 장구가 2번씩 주고 받고 북과 징은 첫박에 맞춰 친다.

 

 

1

2

3

4

2

2

3

4

1

2

3

4

2

2

3

4

 

 

 

 

 

 

 

 

 

 

 

 

 

 

 

 

 

 

 

 

 

 

 

장구

 

○ ̄

/

○ ̄

 

 

○ ̄

/

○ ̄

 

 

 

 

 

 

 

 

 

 

 

 

 

 

 

 

 

 

 

 

 

 

 

 

 

 

 

×2

 

 

 

 

 

 

 

 

 

 

 

 

 

 

×2

 

 

1

2

3

4

2

2

3

4

1

2

3

4

2

2

3

4

 

 

 

 

 

 

 

 

 

 

 

 

 

 

 

×2

장구

 

 

 

 

 

 

 

 

 

 

 

 

 

 

 

 

 

 

 

 

 

 

 

 

 

 

 

 

 

 

 

 

 

 

 

 

 

 

 

 

 

1

2

3

4

2

2

3

4

1

2

3

4

2

2

3

4

 

 

 

 

 

 

 

 

 

 

 

 

장구

 

 

 

 

 

 

 

 

 

 

 

 

 

 

 

 

 

 

 

 

 

 

 

 

 

 

 

 

 

 

 

 

 

 

 

 

 

 

 

1

2

3

4

2

2

3

4

1

2

3

4

2

2

3

4

 

 

 

 

 

 

 

 

장구

 

 

 

 

 

 

 

 

 

 

 

 

 

 

 

 

 

 

 

 

 

 

 

 

 

 

 

 

 

 

 

 

 

 

 

1

2

3

4

2

2

3

4

1

2

3

4

2

2

3

4

 

 

 

 

 

 

 

 

장구

 

 

 

 

 

 

 

 

 

 

 

 

 

 

 

 

 

 

 

 

 

 

 

 

 

 

 

 

 

 

 

1

2

3

4

2

2

3

4

1

2

3

4

2

2

3

4

 

 

 

 

장구

/

○ ̄

/

○ ̄

/

○ ̄

/

○ ̄

 

 

 

 

 

 

 

 

 

 

 

 

 

 

 

 

 

 

 

 

 

 


󰊲 짝쇠(짝두름, 짝드림)


 

1

2

3

4

2

2

3

4

1

2

3

4

2

2

3

4

 

 

 

 

 

 

 

 

장구

/

○ ̄

/

○ ̄

/

○ ̄

/

○ ̄

 

 

 

 

 

 

 

 

 

 

 

 

 

 

 

 

 

 

 

 

 

 

 

1

2

3

4

2

2

3

4

1

2

3

4

2

2

3

4

 

상쇠

 

 

 

 

 

 

 

 

×2

부쇠

 

 

 

 

 

 

 

 

 

상쇠

 

 

 

 

 

 

 

 

 

 

×2

부쇠

 

 

 

 

 

 

 

 

 

 

상쇠

 

 

 

 

 

 

 

 

 

 

×4

부쇠

 

 

 

 

 

 

 

 

 

 

 

장구

 

○ ̄

/

○ ̄

 

/

/

/

 

 

 

 

 

 

 

 

 

 

 

 

 

 

 

 

 

 

 

 

 

 

 

 

 

 

 

1

2

3

4

2

2

3

4

1

2

3

4

2

2

3

4

 

상쇠

 

 

 

 

 

 

 

 

 

 

 

 

 

 

 

×2

부쇠

 

 

 

 

 

 

 

 

 

 

 

 

 

 

 

상쇠

 

 

 

 

 

 

 

 

 

 

 

 

 

 

×2

부쇠

 

 

 

 

 

 

 

 

 

 

 

 

 

 

장구

/

/

/

 

/

○ ̄

○ ̄

/

○ ̄

/

○ ̄

 

 

 

 

 

 

 

 

 

 

 

 

 

 

 

 

 

 

 

 

 

 

 

 

 

 

 

1

2

3

4

2

2

3

4

1

2

3

4

2

2

3

4

 

상쇠

 

 

 

 

 

 

 

 

 

 

 

 

×4

부쇠

 

 

 

 

 

 

 

 

 

 

 

 

쇠 : 4장단은 크게, 4장단은 작게 주고 받는다.

상쇠

 

 

 

 

 

 

 

 

 

 

 

 

×2

부쇠

 

 

 

 

 

 

 

 

 

 

 

 

상쇠

 

 

 

 

 

 

 

 

 

 

×2

부쇠

 

 

 

 

 

 

 

 

 

 

상쇠

 

 

 

 

 

 

 

 

×2

부쇠

 

 

 

 

 

 

 

 

상쇠

 

 

 

 

 

 

 

 

×2

부쇠

 

 

 

 

 

 

 

 

4번씩 주고받기 2회   /   2번씩 주고받기 2회   /   1번씩 주고받기 4회

같이 소리 커지기 8회   /   같이 소리 작아지기 8회

장구

/

○ ̄

/

○ ̄

/

○ ̄

/

○ ̄

 

 

 

 

 

 

 

 

 

 

 

 

 

 

 

 

 

 

 

 

 

 

 

 

 

 

1

2

3

4

2

2

3

4

1

2

3

4

2

2

3

4

상쇠

 

 

 

 

부쇠

상쇠

 

 

 

 

부쇠

장구

/

○ ̄

/

○ ̄

/

○ ̄

/

○ ̄

/

○ ̄

/

○ ̄

 

 

 

 

 

 

 

 

 

 

 

 

 

 

 

 

 

 

 

 

 

 

 

1

2

3

4

2

2

3

4

1

2

3

4

2

2

3

4

상쇠

 

 

 

 

 

 

 

 

장구

/

○ ̄

/

○ ̄

/

○ ̄

/

○ ̄

/

○ ̄

/

○ ̄

 

 

 

 

 

 

 

 

 

 

 

 

 

 

 

 

 

 

 

 

 

 

 

1

2

3

4

2

2

3

4

1

2

3

4

2

2

3

4

 

 

 

 

 

 

 

 

 

 

 

 

장구

 

 

 

 

 

 

 

 

 

 

 

 

 

 

 

 

 

 

 

 

 

 

 

 

 

 

 

 

 

 

 

 

 

 

 

 

‘허이’ 추임새를 넣어 다함께 친다

 

1

2

3

4

2

2

3

4

1

2

3

4

2

2

3

4

상쇠

 

 

 

 

장구

/

○ ̄

/

/

○ ̄

/

/

○ ̄

/

/

○ ̄

/

 

 

 

 

 

 

 

 

 

 

 

 

 

 

 

 

 

 

 

 

 

1

2

3

4

2

2

3

4

1

2

3

4

2

2

3

4

상쇠

 

 

 

 

 

 

 

 

 

 

 

 

 

 

 

 

 

 

 

 

 

 

장구

/

○ ̄

/

/

○ ̄

 

 

 

 

/

○ ̄

 

 

 

 

 

 

 

 

 

 

 

 

 

 

 

 

 

 

 

 

 

 

 

 

 

 

 

 

 

 

 

 

 

 

 

 

 

 

 

 

 

 

 

 

 

 

 

 

 

 

 

 

 

 

 

 

 

 

 

 

 

 

 

 

 

 

 

 






 

출처 : 정원기의 국악 아카데미
글쓴이 : 세요고 원글보기
메모 :

'지료실 > 가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반 설장구 정간보  (0) 2009.10.17
풍물단어의 풀이  (0) 2009.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