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물단어의 풀이
* 풍물 단어의 풀이 *
* 길 군 악: 마을을 돌때 쓰여지는 행진곡풍의 음악..
* 문 굿: 마을의 입구에서 풍물패가 왔음을 알리고 각 집을 들어 갈때는 이 문굿을 하여 허락을 구한후에 문을 열고 들어감...
* 당 산 굿: 마을 어귀의 당산 나무에서 인사를 하는 행위이며 마을을 들어 갈때는 들당산을 치고 나올때는 날당산으 친다...
* 샘 굿: 우물가에서 맑은 물이 많이 나오도록 기원하는 축원의소리...
* 조 왕 굿: 지신밟기를 할때 부엌에서 잡귀를 쫒고 만복을 기원하는 소리...
* 비 나 리: 풍물꾼중에 소리꾼이 각 가정에 건강과 만복을 기원하는 축원의 소리...
* 지 신 밟 기: 정초에나 신축 건물을 완공할때 마을이나 가가호호를 돌며 축원도 하고 땅신을 밟는 놀이 형태....
* 채 굿: 경상도 지방에서 쓰여지는 음악으로 갠지갠지하며 빠르게 몰아치는 가락...
* 영 남 풍 물: 경상남,북도에서 전승되는 풍눌을 지칭.( 김천, 대구, 말양, 부산, 삼천포 등 )
* 덧뵈기 장단: 경상도지방에서 사용되는 느린굿거리 가락으로 느맂 춤을 출때 사용하며 장단의 힘과 단백함을 느낄수 있음....
* 호남 우도굿: 전라도 지방의 평야지방에서 전승되는 풍물을 지칭. (김제, 이리, 광주 등 )
* 호남 좌도굿: 전라도 지방의산간지방에서 전승되는 풍물을 지칭. (필봉, 진안, 남원 등 )
* 오 채 질 굿: 우도풍물에서 나오는 가락으로 징을 다섯번 치며 느린 음악으로부터 빠른 음악으로 지행되는 길놀이 가락
( 종류: 느린 우질굿 ,빠른 우직굿, 느린좌직굿, 빠른 좌질굿, 오른쪽으로 돌면 우질굿, 왼쪽으로 돌면 좌질굿 )
* 시 나 위 가락: 전라도 지방에서 전승되는 선율로서 슬픈조 (계면조) 중심으로 된 즉흥적인 연주형태..
* 경기,충청풍물: 충청도와 경기도 일원에서 전승되는 풍물을 지칭. (대전, 천안, 안성, 공주, 이천 )
* 칠 채 굿: 충청, 경기지방에서 연회되는 길놀이가락...
* 능 계 가 락: 충청, 경기지방에서호적을 불때 능실능실댄다고 하여 능계가락이라고 함
* 영동지방풍물: 강원도 산간지방에서 정승되는 풍눌을 지칭. ( 강릉, 동해, 정선 등 )
* 판 굿: 풍물꾼들이 놀이의 신명을 위하여 약속된 놀이판을 짜서 움직이며 연회되는 놀이....
* 앉 은 반: 뛰어난 몇 명의 잽이들이 앉은 상태에서 풍물가락을 음악적으로 표현하여 들려주는 형태...
* 쇠 채 발 림: 꽤괴리 채를 공중에서 흔들며 일정한 동작을 하는것..
* 장 구 놀 이: 장구를 서서 친다는 의미가 있고 장구잽이중에서 우두머리를 지칭히기도 함...
* 상 모 놀 이: 손에 소고를 들고 치면서 상모위의 물체를 돌리는것이며 채상놀이라고함...
* 자반 뒤집기: 자반 뛰기라고도 하며 소고꾼들이 엎드렸다가 몸을 돌려 뛰면서 진행 반복하는 동작이며 그 모양이 자반고등어
(소금에절인 고등어 ) 구울때 모습과 같다하여 자반뒤집기라고 함...
* 찍 음 상: 상모물체를 앞에서 뒤로 넘겼다가 앞으로 하여 좌우로 돌리는 동작이며 퍼넘기기상, 퍼올리기상, 꼭지상이란 별칭이 있음
* 삼 체 장 단: 풍물에서 징을 치는 숫자를 기준으로 3번친다하여 삼채라 함. 근래에는 한번을 치기도 함...
* 벙어리 삼채: 놀이판이 진행되는 동안 꽹과리 잡색들이 농이판의 신명을 더하기 위하여 꽹과리의 막음 동작으로 치는것...
* 휘 모 리: 휘몰아 친다는 뜻이며 다드래기, 자진가락, 두마치, 자진마치란 용어도 있음...